2014 이후

구두

이회 2019. 1. 19. 17:52

나무 본판 : 몰드


구두는 영국과 이태리가 유명하다


영국 : 라스트, 구두

 테크놀러지화, 설계화


이태리: 패턴이 영국보다 정교함

 정교한 수작업


성수동 : 빠른 카피, 순발력이 장점


영국 SATRA (shoe and allied trade research association)

→구두에 관한 연구가 7~8년 전에 끝남 


shoes 는 체중지지 역할, 이동의 역할

shoes가 어려운 이유는 신고 벗기 편하게. 치수 개념


design 과 fit 의 비중 : 디자인과 브랜드 concept 에 의해


평균 발 사이즈 남성 260 여성 235


소재의 두께는 1.5mm를 기준으로 얇고 두껍고를 이야기 한다.


제법 : 시멘트 - 유두리가 없다 (불변)

         봉제 (시멘트제법의) 10배 가격


개발실 (development Room) 에는 5명 . 연봉 5000~7000




구두는 설계다.

발은 고체가 아닌 '유동체'다


제작에서 중요한 last, 제법'

라스트: 구두골, 구두의 형태 (모양)

구두를 만들때 나무로 만든 구두골에 갑피를 씌워 구두를 만는다.

"이 구두는 라스트가 샤프하네" "라스트가 잘빠졌다" 

라스트의 나무는 보통 단풍나무, 오크나무, 너도밤나무, 느릅나무, 서어나무, 향나무 또는 삼나무를 사용


더비derby 구두는 보통 독일라스트나 부다페스트(헝가리)라스트

옥스포드Oxford 구두는 보통 영국라스트로 만들어진다.


제법: 가죽과 밑창을 어떻게 붙이느냐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웰트welt 블레이크blake 시멘트cement

웰트 라스트 (신발 제작을 위해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만드느느 발모양 틀)에 어퍼(구두 상단부분)을 대고 봉제를 하는 방식.

원래 Hand sewn welt로 남성화가 제작되었으나 

이걸의 미국의 찰스 굿이어가 기계화 시키면서 '굿이어웰트' 라는 방식이 탄생

(굿이어웰트를 최고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음)


블레이크(Blake stitched) or 맥케이(mckay)

: 블레이크 방식은 봉제선을 구두 내부로 넣어서 겉에서 보기에 깔끔.

그래서 웰트 방식에 비해 보통 더 얄상한 모양

(블레이크가 창시자. 맥케이가 특허를 사서 개량)


시멘트(cement)

:독일에서 1차 세계대전 당시 신발의 대량생산을 위해 화공약품 강국이었던 독일에서 본딩 시작